[앵커]<br />집단 대출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늘던 주택담보대출의 상승세가 꺾였습니다.<br /><br />금리가 오르는 데다가 금융권의 대출 심사도 강화되고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당장 아파트 거래에도 영향이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경제부 염혜원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매달 3조 원씩 늘던 주택담보대출이 12월에는 증가폭이 크게 줄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연중 최저고, 같은 12월 끼리 비교를 해도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.<br /><br />12월 시중은행 6곳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80조 8천억 원으로, 11월보다 천8백억 원 정도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11월만 해도 대출 심사가 더 강화되기 전에 막판 대출을 받는 수요가 몰리면서 3조 원 넘게 증가했는데 갑작스럽게 상승세가 꺾였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월평균 증가액과 비교해봐도 15분의 1 수준입니다.<br /><br />12월 끼리 비교를 해보면, 지난 2010년 이후 가장 적은 건데, 그나마도 2010년의 10분의 1 규모밖에 안 됩니다.<br /><br />지난 2년간 그야말로 '폭증'이라는 단어가 어울릴 정도로 성수기, 비수기를 가리지 않고 늘었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에 본격적인 제동이 걸린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갑작스럽게 증가세가 둔화한 것은 아무래도 정부가 대출심사를 강화한 탓이 큰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아무래도 그 영향이 가장 큽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은행권에 이어서 올해부터는 제2금융권까지 거의 모든 금융사의 대출 심사가 강화됩니다.<br /><br />핵심은 거치기간 없이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아 나가고 소득 심사를 더 깐깐하게 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여기에 해당 담보에 대한 대출뿐만 아니라 돈을 빌리는 사람의 총 원리금 상환액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확인하는 'DSR'이라는 규제도 시행되는데요.<br /><br />기존 총부채상환비율, DTI 보다 빌릴 수 있는 돈이 줄어듭니다.<br /><br />예를 들어서 해마다 갚아야 하는 원리금이 2천만 원인 직장인이 추가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경우를 가정해보면, DTI만 적용했을 때는 기존 대출의 이자만 고려해서 2억 8천만 원까지 더 빌릴 수 있었지만, DSR을 적용하면 기존의 원금과 이자를 모두 따져서 2억 3천만 원까지만 빌릴 수 있게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 금리 등 시장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는 것도 대출을 쉽게 받지 못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이렇게 돈줄을 죄고 있는데, 아파트 가격은 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7010416174139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